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pdf원문보기 에러 해결방법 바로가기



문헌홈 > 연구논문 > 상세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미리보기 인용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22년 8월

논문명 평면형상과 공간배치에 따른 일자형 한옥의 유형분류 및 비틀림비정형 평가 /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Torsional Irregularity of Line-Type Hanok Based on Plan Shape and Spatial Layout
저자명 이민위(Lee, Min-Wi)식별저자 ; 김영민(Kim, Yeong-Min)식별저자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8 (2022-08)
페이지 시작페이지(255) 총페이지(8)
ISSN 2733-6247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역사 / 구조
주제어 일자형 한옥; 유형분류; 평면형상; 공간배치; 비틀림비정형 ; Line-Type Hanok; Type Classification; Plan Shape; Spatial Layout; Torsional Irregularity
요약1 본 연구는 일자형 한옥에 대해 평면형상과 공간배치를 기준으로 세부유형을 분류하고 비틀림비정형을 평가하였다. 일자형 한옥의 세부유형은 (1) 완전 대칭형, (2) 부분 비대칭형, (3) 부분 돌출형, (4) 한 모퉁이 개방형, (5) 복합형, (6) 긴 장방형, (7) 여러 모퉁이 개방형의 7가지로 분류되었다. 22개의 일자형 한옥에 대해 비틀림비정형을 평가한 결과, 21채가 비틀림비정형으로 평가되었다. X방향의 평균 편심비율은 모든 세부유형이 100%를 넘었다. 이중 ‘완전 대칭형’이 105%로 가장 작았고, ‘여러 모퉁이 개방형’이 484%로 가장 컸다. Y방향의 평균 편심비율은 ‘여러 모퉁이 개방형’이 119%를 보였고, 나머지 6가지 유형은 모두 100% 이내에 들었다.
요약2 This study classified a detailed category of a line-type Hanok based on its plan type, spatial layout and evaluated the torsional irregularity of
this line-type Hanok. The line-type Hanok was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perfectly symmetry, partial asymmetry, partial protrusion,
single open corner, complex, elongated rectangle, and multiple open corners. There were 22 cases of line-type Hanoks evaluated on torsional
irregular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21 cases belonged to torsional irregular and only one case belonged to torsional regular. The
X-directional average eccentricity ratio for all seven categories exceeded 100%. Among them, the perfectly symmetry type reflected the
smallest value of 105% and the multiple open corners type showed the largest value of 484%. The Y-directional average eccentricity ratio of
multiple open corners type was found to be 119%, which is larger than 100%; the remaining six types showed less than 100%.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on initial seismic design and seismic evaluation of existing and newly built Hanok.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언어 한국어
DOI https://doi.org/10.5659/JAIK.2022.38.8.255
분석서지
건축구조 > 기타 연구분야 > 기타구조형식

■ 추천문헌 (이 문헌과 같이 본 문헌)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조선전기(15~16세기) 주택건축의 특징과 변화 양상 연구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10 (201210)
전통건축 장인의 추녀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김종훈(Kim Jo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5 (201205)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한일간 전통 목구조의 부재 명칭과 가구법에 관한 비교 연구
최장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0 n.01 (통권33호) (200803)
한국 목조건축 架構의 水平比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9 (200809)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한옥 보전을 위한 법령 개정 효과에 관한 연구
이경아(Lee, Kyung-Ah)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5 (201405)
조선후기 서까래 설치방식의 변화와 의미
홍병화(Hong Byung-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1 (201101)
■ 제 1 저자의 다른 문헌 | 이민위(Lee, Min-Wi)식별저자더보기
회귀분석을 이용한 전통목구조의 고유주기 산정식 제안
안치우(Ahn, Chi-Woo) ; 이민위(Lee, Min-Wi) ; 김영민(Kim, Ye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12 (202212)
전통한옥의 평면유형에 따른 비틀림비정형 평가
이민위(Lee, Min-Wi) ; 김영민(Kim, Ye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7 (202207)
L형 한옥의 비틀림비정형에 대한 설계변수 고찰
이민위;김영민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41 No.2 (202110)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전통목구조의 고유주기 산정식 제안
안치우;이민위;김영민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41 No.2 (202110)
한옥의 골조 배치방식에 따른 구조성능 고찰
이민위(Lee, Min-Wi) ; 김영민(Kim, Ye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8 (202108)
전통목구조의 골조유형에 따른 수평내력 비교 고찰
이민위(Lee, Min-Wi) ; 김영민(Kim, Ye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7 (202107)
전통 목조건축물의 내진보강 방안
이민위 ; 김영민 - 202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v.25 n.1 (202106)
전통목구조의 골조 유형에 따른 구조성능 연구
이민위; 김영민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41 No.1 (202104)
일자형 평면을 가진 전통한옥의 내진성능 보강방안 고찰
이민위 ; 김영민 - 202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v.24 n.2 (202011)
국내 전통목구조 접합부 및 골조의 횡강성 평가 연구동향
이민위;김영민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40 No.2 (2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