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pdf원문보기 에러 해결방법 바로가기



문헌홈 > 연구논문 > 상세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미리보기 인용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9년 8월

논문명 현대 도시건축에 나타나는 모빌리티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 A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Urban Architecture as the Space of Mobility
저자명 정혜진식별저자
발행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수록사항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67호 (2019-08)
페이지 시작페이지(249) 총페이지(8)
ISSN 1738-818X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모빌리티; 네트워크 공간구조; 사이 공간; 매끄러운 표피; 거대지붕공간 ; Mobility; Network-Structure; In-Between Space; Seamless Epidermis; Enormous Roofed Space
요약2 This study analyz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which spatiality of mobility has been revealed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ty and architectural practice changed by mobility. Body, transportation, and the body-machine hybrid agent develops new sensual experiences based on spatial structure derived from mobility and its speed. Mobility has developed the traffic-network space and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in-between' space as a node on the network structure. The 'in-between' space appears to be transparent and horizontal vast spaces with no compartments for accommodating various moving flows and urban programs. Besides, mobility and increasing speed lead to 'visualization of experiences' and make the surface of architecture appear as a screen flooded with images and symbols. This enormous roofed space with seamless epidermis means that the important communication factor, intermediaing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bodies in the building environment of the modern city, is the surface and spatial composition with symbols as well as products. In conclusion, the spatiality of mobility has developed such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like fluid form, seamless and flat epidermis, the reliance of mediated surface embodying moving visual perception, and enormous roofed space
소장처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언어 한국어
분석서지
건축계획 및 설계 > 설계방법론 > 공간 분석

건축역사 및 이론 > 건축론 일반

■ 추천문헌 (이 문헌과 같이 본 문헌)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도시형 공중 모빌리티 (UAM) 도입에 따른 수도권 도시공간구조 변화 예측
이종욱(Lee, Jong-Wook) ; 이재홍(Lee, Jae-Hong) ; 홍성조(Hong, Su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6 (202106)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 제 1 저자의 다른 문헌 | 정혜진식별저자더보기
애플스토어에 나타난 기념비적 표현에 관한 연구
정혜진(JUNG HYEJIN); 오상은(OH SANG EUN); 박소람(Park, So-Ram)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82호 (202305)
물의 시각적 효과를 이용한 수공간 계획 사례 연구
김경민; 박상연; 정혜진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41 No.1 (202104)
집합적 기억 전달의 매개체로서 경관요소 연구
강종인; 고혁철; 류준현; 정혜진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41 No.1 (202104)
공항공간의 현대적 장소성 고찰- 공항 유휴부지 활용전략을 중심으로 -
정혜진;박소람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1호 (202008)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적용이 저층 주거지역 거주민들의 범죄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김환성; 정혜진;이제승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9호 (202002)
도시 공공공간으로서 필로티공간에 관한 사례 연구
유지민(Yoo, Ji-Min) ; 정혜진(Jung, Hye-Ji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네트워크적 장소 만들기에 관한 사례 연구
양혜린(Yang, Hea-Lin) ; 정혜진(Jung, Hye-Ji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공공화된 사유공간의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애플스토어를 중심으로 -
김나현(Kim, Na-Hyun) ; 정혜진(Jung, Hye-Ji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현대 광장의 경관 요소에 관한 연구 - 광장의 기능과 형태 변화를 중심으로 -
김나현(Kim, Na-Hyun) ; 권세미(Kwon, Se-Mi) ; 한지연(Han, Ji-Yeon) ; 정혜진(Jung, Hye-Ji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공항건축의 형성과정에 따른 유형적 요소와 의미
정혜진(Jung, Hye-Jin)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5호 (201902)